서울시 음식물처리기 지원금, 우리 집도 받을 수 있을까?
여름이면 음식물 쓰레기 냄새와 벌레 걱정이 극심해지죠. 매번 수거일 맞추기도 어렵고, 주방 환경도 위생이 걱정됩니다.
그래서 최근 음식물처리기(정식 명칭: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)를 찾는 분들이 늘고 있어요.
그런데! 서울시민은 음식물처리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📌 2025년 서울시 기준
- ✅ 가구당 최대 40만 원 내외
- ✅ 5,000대 지원 목표
- ✅ 구매가의 50% (서울시 25% + 자치구 25%) 보조
✅ 음식물처리기 지원금이란?
서울시와 각 자치구가 협력하여 시행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보급지원 사업은 가정 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가정용 감량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사업 기간: 2025년 2월 ~ 12월
- 총 예산: 약 8억 7,500만 원
- 대상 수량: 약 5,000대
- 지원 비율: 구매가의 50% (서울시 25% + 자치구 25%)
💡 공고문에는 "음식물처리기" 대신 **"감량기"**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.
✅ 신청 대상 및 자격 요건
✔ 서울시 주민등록이 된 시민
✔ 주거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정용 감량기 구입 예정자
✔ 일부 자치구는 공동주택 단위 신청만 가능
📌 거주 요건 외 특별한 조건은 거의 없습니다. 하지만 구별로 신청 방식과 요건이 다를 수 있으니 자치구 공고문 확인 필수!
✅ 신청 절차 (2025년 기준)
1단계 | 구청 홈페이지에서 공고 확인 |
2단계 | 신청서 작성 및 필요서류 준비 |
3단계 | 승인 후 지정된 감량기 구매 |
4단계 | 구매 영수증 + 설치 사진 제출 |
5단계 | 보조금 계좌 입금 완료 |
📌 유의사항: 구매 후 신청은 인정되지 않는 경우 많습니다!
→ 반드시 신청 → 승인 → 구매 순서로 진행해야 합니다.
✅ 제출서류는?
- 감량기 구매 영수증 (정식 거래 내역)
- 실제 설치 사진 (주방 설치 확인 가능하도록)
- 신청서 (자치구 양식)
- 주민등록등본 또는 신분증 사본
- 통장 사본 (보조금 입금용)
📌 온라인 접수 또는 주민센터 방문 접수 가능 여부는 자치구별 공고문 확인 필수!
✅ 지정 제품은 따로 있을까?
지원 대상은 서울시 지정 감량기 제품으로 한정됩니다.
예시 브랜드 | 지원 조건 |
루펜 | 공공기관 등록 제품 |
에코○○ | 서울시 인증 제품 다수 |
비움, 휴렉 | 감량율 인증 및 인증 마크 보유 |
❗ 무조건 최저가 제품 구매는 금물! → 지원 대상 제품 리스트는 반드시 자치구 공고문에서 확인하세요.
✅ 자치구 문의처 (예시)
-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☎ 2133-3720, 3736, 3738
- 마포구 환경과 ☎ 02-3153-9270
- 강동구 청소행정과 ☎ 02-3425-5894
- 송파구 자원순환과 ☎ 02-2147-2867
→ 각 구청 ‘생활환경과’ 또는 ‘청소행정팀’이 담당
✅ 핵심 주의사항 요약
- ✅ 구매 전 신청 필수 (사전 승인 없으면 보조금 불가!)
- ✅ 서울시 등록 제품만 지원 대상
- ✅ 설치 사진과 구매 내역서 모두 필요
- ✅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성 높음
- ✅ 공동주택은 아파트 단지별 신청만 가능한 경우 있음
✅ 마무리하며
서울 시민이라면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조금으로 비용까지 줄일 수 있는 기회 놓치지 마세요!
- ✔ 환경보호 실천
- ✔ 주방 위생 개선
- ✔ 구매 비용 절반 부담으로 가성비도 GOOD
📌 “서울시 음식물처리기 지원금”, “서울 감량기 보조금” 등으로 구청 홈페이지에서 공고문 검색 →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👉 정부24 보조금 사이트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.

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50323026100004
강남구, 음식물처리기 구매비용 지원…"자치구 최대 규모" | 연합뉴스
(서울=연합뉴스) 윤보람 기자 = 서울 강남구(구청장 조성명)는 서울시 자치구 중 최대 규모로 가정용 음식물처리기(소형감량기) 구매비용 지원사업...
www.yna.co.kr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님 치과치료비, 아직도 전액 부담하시나요? (0) | 2025.04.08 |
---|---|
부모님 보행보조기, 아무거나 사면 안 됩니다 (0) | 2025.04.05 |
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, 다시 시작!(자가진단표 작성해보세요!) (0) | 2025.04.02 |
2025 친환경 보일러 교체 지원금, 최대 60만원 돌려받자! (0) | 2025.04.02 |
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완벽정리 📌지원대상부터 신청방법까지! (0) | 2025.04.02 |
2025에도 청년 월세 지원 받으세요! (0) | 2025.04.01 |
2025년 전기이륜차, 보조금이 2배?! 서울시 4월 1일부터 지원 (0) | 2025.04.01 |
예술인을 위한 실제 도움되는 지원 제도 총정리 (0) | 2025.03.29 |